공유 라이브러리는 보통 아래와 같이 명명된다.
libMyLibrary.so.1.2.3
라이브러리는 용도에 따라 몇가지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혼돈되기 쉬우니 주의가 필요하다.
1. 링커 이름.(linker name)
링커 이름은 라이브러리 파일 명에서 버젼을 나타내는 숫자를 뺀 so까지의 이름이다. 즉 위에서는 libMyLibrary.so까지가 linker name이 된다. 링커 이름은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빌드 할 때 사용되는 이름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프로그램이 빌드될 때 해당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공유 라이브러리를 찾기 위해 링커 이름을 가진 파일이 빌드하는 시스템에 있어야 한다. 예를들어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libMyLibrary.so.1.2.3을 사용하여 컴파일 할 경우 빌드 옵션에 -lMyLibrary를 추가하게 되는데 이때 기본 라이브러리 경로나 혹은 –L 옵션을 사용하여 지정한 디렉토리에 libMyLibrary.so 파일, 즉 링커 이름으로 된 라이브러리 파일이 있어야 한다. (보통은 libMyLibrary.so.1.2.3에 대한 심볼링 링크로 이 파일을 만든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호스트 개발 환경에 해당 라이브러리의 여러 버젼이 존재할 경우 이를 관리하기 위함이다. ) 크로스 컴파일을 하는 환경에서는 빌드시에만 링커 이름을 가진 파일이 필요하며, 타겟에서 실행 시에는 이 파일이 필요치 않다. 즉 개발하는 호스트 컴퓨터에는 라이브러리 파일 이름이 링커 이름으로 되어 있거나 이를 심볼링 링크로 만들어야 한다. 컴파일러/링커는 링커 이름을 가진 파일에서 이 라이브러리의 soname을 읽어오게 된다. 따라서 공유 라이브러리는 빌드시 실행 파일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soname을 읽어와야 하기 때문에 공유 라이브러리가 빌드하는 호스트 시스템에 없으면 빌드가 되지 않는다.
2. soname
이 이름은 로더가 라이브러리를 실행할 때 찾는 이름으로 타겟에는 soname을 가진 파일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때때로 이 파일은 심볼릭 링크로 다른 파일로 링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soname은 so뒤에 숫자 하나를 추가하여 만든다. 예를 들어 libMyLibrary.so.1 가 위 라이브러리의 soname으로 적합하다.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soname을 지정할 수 있다.
gcc –shared –Wl,-soname libMyLibrary.so.1 –o libMyLibrary.so.1.2.3 MyLibrary.o
so뒤에 오는 첫번째 숫자는 라이브러리의 Major version number로 일반적으로 호환성이 변경되는 경우에 증가시킨다. 이렇게 라이브러리를 빌드하고 또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빌드하면 해당 프로그램 실행 시 로더에 의해서 soname을 가진 파일을 라이브러리 경로에서 찾게 된다. 즉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에는 soname을 가진 라이브러리 파일이 필요하다. 크로스 컴파일을 하는 환경에서는 빌드 시에는 soname을 가진 파일이 아닌 링커이름을 가지는 파일(일반적으로 xxx.so로 끝나는 파일)이 필요하고 실행시에는 soname을 가지는 라이브러리(혹은 이에 대한 심볼릭 링크 )가 필요한 것이다.
라이브러리 full name에서 두번째 숫자는 라이브러리의 minor version number로 호환성에는 변경이 없지만 새로운 함수등이 추가되는 경우에 변경되며, 세번째 자리는 release 버전으로 버그 수정 등으로 라이브러리가 새로 릴리즈되는 경우에 변경된다.
따라서 크로스 컴파일 환경에서, 호스트에서 공유 라이브러리 libMyLibrary.so.1.2.3 를 만들어 타겟 시스템에 넣을 경우 타켓 시스템에는 아래와 같이 soft link file을 만들어 soname을 가진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ln –s libMyLibrary.so.1.2.3 libMyLibrary.so.1
or
mv libMyLibrary.so.1.2.3 libMyLibrary.so.1
또한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모든 개발자는 자신의 빌드 환경에 아래와 같이 공유 라이브러리가 링커 이름을 가지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즉 .so.1 파일은 호스트(빌드)시스템에서는 필요 없다)
ln –s libMyLibrary.so.1.2.3 libMyLibrary.so
or
mv libMyLibrary.so.1.2.3 libMyLibrary.so
특정 라이브러리의 soname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objdump -p libMyLibrary.so.1.2.3 | grep SONAME
더 자세한 내용은...
http://wiki.kldp.org/wiki.php/DocbookSgml/Program-Library-HOWTO#DL-LIBRARIES
2009년 1월 21일 수요일
od와 xxd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몇가지 hex editor가 존재하듯 유닉스/리눅스 환경에서도 몇가지 방법으로 바이너리 파일을 hex 모드로 읽고 편집할 수 있다. emacs가 이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유닉스 환경에서의 에디터이지만, 여기서는 다른 방법을 소개한다.
먼저 바이너리 파일을 hex 모드로 읽기만 하는 경우에는 xdd나 od를 사용하면 된다.
xxd -g1 filename
or
od -tx1 -Ax filename
두 프로그램은 거의 동일한 포맷으로 출력을 보여주지만 od가 좀 더 포맷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tx1는 type을 16진수로 해서 1바이트 단위로 표시하라는 뜻이며, -Ax는 Address표시를 16진수로 지정하는 옵션으로 위 예와같이 데이터와 어드레스의 표시 형식을 서로 다르게 지정할 수도 있다. od는 octal dump의 약자로 옵션을 주지 않을 경우 8진수로 출력된다.
od가 여러가지 타입으로 출력을 지원하는 것과 달리 xxd는 오직 16진수 형식만 지원한다. -g옵션으로 출력 바이트 단위를 지정해줄 수 있으며 기본값은 2바이트 단위이다.
바이너리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vi와 xxd를 함께 사용하면 된다. xxd는 -r 옵션을 제공하는데 이는 reverse 기능으로, 원래 xxd가 바이너리 파일을 16진수 텍스트 형태로 변경해주는 프로그램인데 -r옵션을 사용하여 실행하면 16진수 텍스트를 그대로 다시 바이너리로 변경해 주게 된다. 따라서 바이너리 파일을 헥사 에디팅하려면 vi에서 xxd를 사용하여 바이너리를 16진수 텍스트 형태로 바꾸에 표시하여 주고, 이를 수정한 후 xxd -r을 사용하여 다시 바이너리 형태로 바꾸어준 다음 저장하면 된다.
먼저 vi 실행 시 -b옵션을 사용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바이너리 파일은 연다. 이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vi에서 binary 파일을 열 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여러가지 vi 기능들이 모두 turn off 된다.
vi -b filename
이후 아래와 같이 파일을 hex 포맷으로 변환한다.
:%!xxd
이제 헥사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를 수정한다. 수정시에는 데이터를 insert나 delete하면 안된다. (아쉬운 제약 사항이지만 어쩔 수 없다.) 따라서 r 명령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원하는 값으로 한자씩 수정하는 것이 좋다. 수정이 끝나면 아래 명령으로 이를 다시 바이너리 데이터로 바꾸면 된다.
:%!xxd -r
-r 옵션으로 xxd를 실행시에는 16진수로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의 값들만 참조되기 때문에 vi에서 16진수 데이터영역 외에 주소 영역이나 아스키로 표시되는 영역을 수정하더라도 이는 무시된다.
이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가면 된다.
:wq
수정사항을 xxd나 od로 확인해 볼 수 있다.
od -tx1 -Ax filename more +20 -10
먼저 바이너리 파일을 hex 모드로 읽기만 하는 경우에는 xdd나 od를 사용하면 된다.
xxd -g1 filename
or
od -tx1 -Ax filename
두 프로그램은 거의 동일한 포맷으로 출력을 보여주지만 od가 좀 더 포맷을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다. -tx1는 type을 16진수로 해서 1바이트 단위로 표시하라는 뜻이며, -Ax는 Address표시를 16진수로 지정하는 옵션으로 위 예와같이 데이터와 어드레스의 표시 형식을 서로 다르게 지정할 수도 있다. od는 octal dump의 약자로 옵션을 주지 않을 경우 8진수로 출력된다.
od가 여러가지 타입으로 출력을 지원하는 것과 달리 xxd는 오직 16진수 형식만 지원한다. -g옵션으로 출력 바이트 단위를 지정해줄 수 있으며 기본값은 2바이트 단위이다.
바이너리 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vi와 xxd를 함께 사용하면 된다. xxd는 -r 옵션을 제공하는데 이는 reverse 기능으로, 원래 xxd가 바이너리 파일을 16진수 텍스트 형태로 변경해주는 프로그램인데 -r옵션을 사용하여 실행하면 16진수 텍스트를 그대로 다시 바이너리로 변경해 주게 된다. 따라서 바이너리 파일을 헥사 에디팅하려면 vi에서 xxd를 사용하여 바이너리를 16진수 텍스트 형태로 바꾸에 표시하여 주고, 이를 수정한 후 xxd -r을 사용하여 다시 바이너리 형태로 바꾸어준 다음 저장하면 된다.
먼저 vi 실행 시 -b옵션을 사용하여 수정하고자 하는 바이너리 파일은 연다. 이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vi에서 binary 파일을 열 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여러가지 vi 기능들이 모두 turn off 된다.
vi -b filename
이후 아래와 같이 파일을 hex 포맷으로 변환한다.
:%!xxd
이제 헥사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를 수정한다. 수정시에는 데이터를 insert나 delete하면 안된다. (아쉬운 제약 사항이지만 어쩔 수 없다.) 따라서 r 명령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원하는 값으로 한자씩 수정하는 것이 좋다. 수정이 끝나면 아래 명령으로 이를 다시 바이너리 데이터로 바꾸면 된다.
:%!xxd -r
-r 옵션으로 xxd를 실행시에는 16진수로 표시되는 데이터 영역의 값들만 참조되기 때문에 vi에서 16진수 데이터영역 외에 주소 영역이나 아스키로 표시되는 영역을 수정하더라도 이는 무시된다.
이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가면 된다.
:wq
수정사항을 xxd나 od로 확인해 볼 수 있다.
od -tx1 -Ax filename more +20 -10
라이브러리 이해하기 1.
유닉스나 리눅스 환경에서 라이브러리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정적 라이브러리
- 공유 라이브러리
-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
정적 라이브러리는 .a로 끝나는 파일로 빌드 시 실행 파일에 포함되게 된다. 정적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라이브러리가 extern하는 함수가 선언된 헤더 파일과 해당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공유 라이브러리는 .so로 끝나는 파일로 빌드 시 실행 파일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프로그램이 공유하는 기능을 공유 라이브러리로 만들 경우 디스크 공간을 아낄수 있고 공유 라이브러리에 버그가 존재할 경우 공유 라이브러리만 재배포하여 문제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라이브러리가 이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메모리에 로드되면, 해당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또다른 프로세스가 실행되었을 때 이전 프로세스가 로딩해 놓은 내용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 또한 절약된다.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라이브러리가 extern하는 함수가 선언된 헤더 파일과 해당 공유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공유 라이브러리는 실행 파일이 실제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시점에 프로그램 링커 로더가 /lib, /usr/lib, 그리고 LD_LIBRARY_PATH등에서 해당 파일의 존재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사용되게 된다. 공유 라이브러리는 앞서 말한바와 같이 링크되는 시점(해당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 시점)에 공유 라이브러리의 헤더와 라이브러리( .so)파일이 필요하다. 왜 실행파일에 포함되지 않는 라이브러리 파일이 필요한 것인까? 이는 빌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찾아야 할 라이브러리의 이름이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 안에 적혀있기 때문인데 이를 soname이라고 하고 이 soname은 라이브러리의 파일명하고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구분하여야 한다. 공유 라이브러리를 컴파일할 때에는 아래와 같이 –fPIC (Position Independent Code)옵션이 필요하다.
gcc –fPIC –c MyLibrary.c
gcc –shared –Wl,-soname libMyLibrary.so.1 –o libMyLibrary.so.1.2.3 MyLibrary.o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는 실행 중에 동적으로 로딩되는 라이브러리며, 프로그램 실행시가 아닌 해당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함수가 사용되는 시점에 불려와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동적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첫 실행이 정적 혹은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보다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는 실행 시 동적으로 라이브러리에서 직접 정보를 얻어와 실행한다. 따라서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 시점에서는 해당 라이브러리에 대한 헤더 파일이나 심지어 해당 라이브러리 자체도 필요 없다. 리눅스에서는 일반 공유 라이브러리를 동적으로 적재가 가능하므로 공유 라이브러리와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가 같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뿐이다. 즉 so파일을 공유 라이브러리도 사용할 수도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로 사용하려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서 dlopen, dlsym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심볼을 불러오도록 처리하면 된다.
대부분의 unix/linux 시스템에서 LD_LIBRARY_PATH가 사용 가능하지만 모든 시스템에서 그런 것은 아니다. 리눅스에서는 LD_LIBRARY_PATH 사용이 가능하지만, /etc/ld.so.conf 파일과 ldconfig을 사용하여 /etc/ld.so.cache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이 더 권장된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rpath를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 rpath는 실행 파일을 compile할때 지정해 주면 된다.
gcc -Wall -o myexefile -Wl,rpath,. main.o -L. -lMyLibrary
위 예제에서는 rpath를 현재 디렉토리 [.]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실행할 때 MyLibrary를 찾는 위치에 현재 디렉토리를 추가한 것이다. -L옵션은 링크시에 MyLibrary를 찾는 위치를 지정하는 옵션으로 역시 [.] 현재 디렉토리로 지정하였다. 굳이 -l 옵션으로 라이브러리를 지정할 필요 없이 경로를 포함한 파일 이름을 사용하여도 된다.
gcc -Wall -o myexefile -Wl,rpath,. main.o ./libMyLibrary.so.1.2.3
- 정적 라이브러리
- 공유 라이브러리
-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
정적 라이브러리는 .a로 끝나는 파일로 빌드 시 실행 파일에 포함되게 된다. 정적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라이브러리가 extern하는 함수가 선언된 헤더 파일과 해당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공유 라이브러리는 .so로 끝나는 파일로 빌드 시 실행 파일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프로그램이 공유하는 기능을 공유 라이브러리로 만들 경우 디스크 공간을 아낄수 있고 공유 라이브러리에 버그가 존재할 경우 공유 라이브러리만 재배포하여 문제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라이브러리가 이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메모리에 로드되면, 해당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또다른 프로세스가 실행되었을 때 이전 프로세스가 로딩해 놓은 내용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 또한 절약된다.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라이브러리가 extern하는 함수가 선언된 헤더 파일과 해당 공유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공유 라이브러리는 실행 파일이 실제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시점에 프로그램 링커 로더가 /lib, /usr/lib, 그리고 LD_LIBRARY_PATH등에서 해당 파일의 존재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사용되게 된다. 공유 라이브러리는 앞서 말한바와 같이 링크되는 시점(해당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 시점)에 공유 라이브러리의 헤더와 라이브러리( .so)파일이 필요하다. 왜 실행파일에 포함되지 않는 라이브러리 파일이 필요한 것인까? 이는 빌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찾아야 할 라이브러리의 이름이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 안에 적혀있기 때문인데 이를 soname이라고 하고 이 soname은 라이브러리의 파일명하고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구분하여야 한다. 공유 라이브러리를 컴파일할 때에는 아래와 같이 –fPIC (Position Independent Code)옵션이 필요하다.
gcc –fPIC –c MyLibrary.c
gcc –shared –Wl,-soname libMyLibrary.so.1 –o libMyLibrary.so.1.2.3 MyLibrary.o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는 실행 중에 동적으로 로딩되는 라이브러리며, 프로그램 실행시가 아닌 해당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함수가 사용되는 시점에 불려와 사용되게 된다. 따라서 동적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첫 실행이 정적 혹은 공유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보다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는 실행 시 동적으로 라이브러리에서 직접 정보를 얻어와 실행한다. 따라서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 시점에서는 해당 라이브러리에 대한 헤더 파일이나 심지어 해당 라이브러리 자체도 필요 없다. 리눅스에서는 일반 공유 라이브러리를 동적으로 적재가 가능하므로 공유 라이브러리와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가 같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될 뿐이다. 즉 so파일을 공유 라이브러리도 사용할 수도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동적 적재 라이브러리로 사용하려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서 dlopen, dlsym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심볼을 불러오도록 처리하면 된다.
대부분의 unix/linux 시스템에서 LD_LIBRARY_PATH가 사용 가능하지만 모든 시스템에서 그런 것은 아니다. 리눅스에서는 LD_LIBRARY_PATH 사용이 가능하지만, /etc/ld.so.conf 파일과 ldconfig을 사용하여 /etc/ld.so.cache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이 더 권장된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rpath를 지정하는 방법이 있다. rpath는 실행 파일을 compile할때 지정해 주면 된다.
gcc -Wall -o myexefile -Wl,rpath,. main.o -L. -lMyLibrary
위 예제에서는 rpath를 현재 디렉토리 [.]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실행할 때 MyLibrary를 찾는 위치에 현재 디렉토리를 추가한 것이다. -L옵션은 링크시에 MyLibrary를 찾는 위치를 지정하는 옵션으로 역시 [.] 현재 디렉토리로 지정하였다. 굳이 -l 옵션으로 라이브러리를 지정할 필요 없이 경로를 포함한 파일 이름을 사용하여도 된다.
gcc -Wall -o myexefile -Wl,rpath,. main.o ./libMyLibrary.so.1.2.3
피드 구독하기:
글 (Atom)